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액 조회 및 납입전략 : 최대 9.88% 금리 효과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5년 만기시 적금에 이자와 정부지원금을 더해 돌려주는 상품입니다. 5년이라는 기간동안 계좌에 납입해야하는 조건이 있지만, 만기까지 납입하기만 하면 만기에 상당한 금액을 수령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액을 알아보고 각 소득구간별 납입금액별 정부기여금과 금리효과 그리고 납입전략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총급여 2,400만원 이하

만기수령액 최대 4,985만원

총 급여액이 2,400만원을 넘지 않는 대상의 경우, 우대금리를 포함하여 최대 6%이자 수령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6%의 정부 기여금을 포함하면 최대 9.88% 금리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만기수령액 최대 4,925만원

총 급여액이 3,600만원 이하인 대상은 4.6%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이자를 포함하면 최대 8.64% 금리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총급여 4,800만원 이하

만기수령액 최대 4,920만원

총 급여액이 4,800만원 이하인 대상은 3.7%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이자를 포함하면 최대 8.22% 금리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금리 효과 고려하여 60만원까지만 납입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입니다.

총급여 6,000만원 이하

만기수령액 최대 4,913만원

총 급여액이 6,000만원 이하인 대상은 3%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이자를 포함하면 최대 7.89% 금리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총 급여가 7,500만원 이하인 대상은 기여금을 받을 수 없지만, 5.5%의 이자와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로 최대 6.5% 금리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정 확인하기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

사회 초년생 및 청년들의 저축을 장려하고 자산관리, 형성을 돕기 위해 2022년 2월에 출시되었던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만기도래한 금액에 대한 활용방안을 고민중이신분들이 많을텐데요. 새롭게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는 만기도래한 청년희망적금의 일시납입시 18개월의 불입을 인정하여 혜택을 주고 지속적인 자산관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Leave a Comment